[Docker] 처음 사용해본 도커로 배포 리팩토링 해보기
위는 리팩토링 이후 배포 상태이다. 배포 방식을 수정하는 이유 기존에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git pull로 최신 커밋을 내려받고, 도커 컴포즈 파일로 빌드 후 그린/블루 배포 방식을 통해 실행하는 구조였다. 하지만, 이 방식은 도커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굳이 도커를 추가로 가져가는 느낌이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커를 제거할 ...
위는 리팩토링 이후 배포 상태이다. 배포 방식을 수정하는 이유 기존에는 클라우드 서버에서 git pull로 최신 커밋을 내려받고, 도커 컴포즈 파일로 빌드 후 그린/블루 배포 방식을 통해 실행하는 구조였다. 하지만, 이 방식은 도커의 장점을 살리지 못하고, 굳이 도커를 추가로 가져가는 느낌이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커를 제거할 ...
⛔ Null과 NOT IN SQL 문제를 풀면서 NOT IN을 사용했는데, 원하는 대로 조회가 되지 않았던 문제가 발생했다. 아래 코드는 프로그래머스의 SQL문제이다. SELECT ITEM_ID, ITEM_NAME, RARITY FROM ITEM_INFO WHERE ITEM_ID NOT IN ( SELECT DISTINCT(PARENT_IT...
미들웨어란 요청과 응답 사이에서 요청을 가로채거나, 요청 전후 추가 작업을 수행하는 함수이다. 간단한 예시로, 사용자 인증, 로깅 등의 작업이 있다. 🔧 미들웨어는 어떻게 사용하는 것인가? express 프레임 워크를 기준으로, express 모듈의 express() 함수를 호출하게 될 경우 express 어플리케이션 객체가 반환된다. 이렇게 반...
해당 내용 중 문제가 될 사항이 있다면, rdyjun00@gmail.com 또는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예정된 4주간의 네이버 부스트캠프 챌린지 과정이 모두 끝이났다. 다양한 학습 방식을 통해 학습에 몰입할 수 있었던 시간이었고, 언제 또 이만큼의 몰입을 해볼 수 있을 지 모르겠을 만큼 나를 갈아넣은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 🎉...
해당 내용 중 문제가 될 사항이 있다면, rdyjun00@gmail.com 또는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주간의 과정을 마치고, 내일부터 새로운, 그리고 마지막인 한 주를 남기게 되었다. 여러 경험들을 하면서 느꼈던 감정들과 앞으로의 한 주에 대해 작성해볼 생각이다. 🚦 3주차 소감 3주차부터는 짝과 함께 서로의 코드에 대해 개...
첫 주에 이어 두 번째 주까지 잘 마무리 되었다. 이번 주를 잠깐 되돌아보면 정말 짧았던 것 같다. 어느새 수요일, 목요일이 되었고, 지금은 한 주 과정을 마친 저녁이다. 이번 주도 많은 것을 배우고 겪었던 한 주라고 할 수 있겠다. 🚦 겪고난 후 생각 베이직부터 지금까지 한 달이 조금 넘은 것 같은데 이제는 좀 과정이 익숙해진 것 같다. 지난 주...
해당 내용 중 문제가 될 사항이 있다면,rdyjun00@gmail.com 또는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긴장도 많이 했고, 잠도 많이 못 잔 챌린지의 첫 주가 끝났다. 몸이 힘들었던 만큼 많은 것들을 느낄 수 있는 시간들이었고, 또 많은 것들을 배울 수 있는 시간이었다고 생각한다. 🚦 겪고난 후 생각 한 주간의 경험으로 챌린지를 ...
지난 2주간 네이버 부스트캠프의 베이직 과정을 수료했다! 서류 전형부터 1차 코딩테스트, 베이직 과정 및 2차 코딩테스트까지의 경험에서 내가 느꼈던 감정과 배운 것들에 대해서 기록해보려고 한다. 📃 서류전형 기본적인 인적 사항들과 4가지의 간단한 답변을 요구하는 질문이 있었다. 인적 사항에는 학력 사항이 주였던 것 같고, 별다른 내용은 없었던 것으...
누적합(prefix sum) 알고리즘은 작거나, 큰 배열에서 부분적으로 배열의 값을 여러 번 업데이트 할 때 효율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이다. 업데이트 요청마다 반복문을 돌지 않고, 업데이트 정보를 저장해두었다가 한 번의 반복문으로 해결한다. 카카오에서 출제한 파괴되지 않은 건물을 예시로 알아보겠다. 흐름 흐름을 간단하게 설명한다면...
플로이드 워셜(FLoyd Warshall)은 모든 노드의 최단 경로 탐색 문제에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모든 노드로부터 다른 모든 노드로의 최소 비용을 찾아낼 때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다익스트라(dijkstra)와 비교할 수 있는데,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은 특정 한 노드를 기준으로 다른 노드들로 가는 최소 비용만을 구하지만, 플로이드 워셜은 모든 ...